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국토교통부는 국토종합계획 수립 및 조정, 국토의 보전·이용·개발, 도시·도로 및 주택 건설, 육운·철도 및 항공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1948년 교통부로 시작하여 건설부, 건설교통부를 거쳐 201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장관, 2명의 차관, 다양한 실·국, 소속기관,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3년 기준 총 1,036명의 공무원이 근무한다. 2023년 국토교통부의 재정 규모는 총 23조 655억 8900만 원의 세입 예산과 55조 7514억 1200만 원의 세출 예산으로 편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토교통부의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국명 | 대한민국 |
정식 명칭 | 40px 국토교통부 |
공용어 명칭 | 국토교통부 |
로마자 표기 |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
약칭 | 국토부, MOLIT |
위치 | 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11 정부세종청사 6동 |
설치일 | 2013년 3월 23일 |
전신 | 국토해양부 |
모토 | 살기 좋은 국토, 편리한 교통 |
웹사이트 | 국토교통부 |
직원 | 1,036명 |
정원 | 1005명 |
조직 | |
상급 기관 | 국무총리 |
산하 기관 | #조직 |
재정 | |
연간 예산 (세입) | 23조 655억 8900만 원 |
연간 예산 (세출) | 55조 7514억 1200만 원 |
연간 예산 (세입) | 17조7707억5700만 원 |
연간 예산 (세출) | 43조2191억900만 원 |
주요 직책 | |
장관 | 박상우 |
제1차관 | 이원재 |
제2차관 | 어명소 |
2. 소관 사무
국토종합계획의 수립 및 조정, 국토의 보전·이용·개발, 도시·도로 및 주택의 건설, 해안 및 간척, 육운·철도 및 항공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1]
3. 연혁
3. 1. 역대 로고
4. 조직
대한민국 국토교통부의 조직은 장관, 제1차관, 제2차관 아래 여러 실, 국, 정책관, 담당관실, 과 등으로 구성된다.
4. 1. 소속기관
5. 역대 장관
대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건설교통부 장관 | |||
초대 | 오명 | 1994년 12월 24일 ~ 1995년 12월 21일 | 김영삼 정부 |
2대 | 추경석 | 1995년 12월 21일 ~ 1997년 3월 5일 | 김영삼 정부 |
3대 | 이환균 | 1997년 3월 6일 ~ 1998년 3월 3일 | 김영삼 정부 |
4대 | 이정무 | 1998년 3월 3일 ~ 1999년 5월 24일 | 김대중 정부 |
5대 | 이건춘 | 1999년 5월 24일 ~ 2000년 1월 14일 | 김대중 정부 |
6대 | 김윤기 | 2000년 1월 14일 ~ 2001년 3월 26일 | 김대중 정부 |
7대 | 오장섭 | 2001년 3월 26일 ~ 2001년 8월 22일 | 김대중 정부 |
8대 | 김용채 | 2001년 8월 22일 ~ 2001년 9월 7일 | 김대중 정부 |
9대 | 안정남 | 2001년 9월 7일 ~ 2001년 9월 29일 | 김대중 정부 |
10대 | 임인택 | 2001년 9월 29일 ~ 2003년 2월 26일 | 김대중 정부 |
11대 | 최종찬 | 2003년 2월 27일 ~ 2003년 12월 28일 | 노무현 정부 |
12대 | 강동석 | 2003년 12월 29일 ~ 2005년 3월 29일 | 노무현 정부 |
13대 | 추병직 | 2005년 4월 6일 ~ 2006년 11월 15일 | 노무현 정부 |
14대 | 이용섭 | 2006년 12월 11일 ~ 2008년 2월 29일 | 노무현 정부 |
국토해양부 장관 | |||
15대 | 정종환 | 2008년 2월 29일 ~ 2011년 6월 1일 | 이명박 정부 |
16대 | 권도엽 | 2011년 6월 2일 ~ 2013년 3월 11일 | 이명박 정부 |
17대 | 서승환 | 2013년 3월 11일 ~ 2013년 3월 23일 | 박근혜 정부 |
국토교통부 장관 | |||
(17대) | 서승환 | 2013년 3월 23일 ~ 2015년 3월 15일 | 박근혜 정부 |
18대 | 유일호 | 2015년 3월 16일 ~ 2015년 11월 11일 | 박근혜 정부 |
19대 | 강호인 | 2015년 11월 11일 ~ 2017년 6월 20일 | 박근혜 정부 |
20대 | 김현미 | 2017년 6월 21일 ~ 2020년 12월 28일 | 문재인 정부 |
21대 | 변창흠 | 2020년 12월 29일 ~ 2021년 4월 16일 | 문재인 정부 |
직무대행 | 윤성원 | 2021년 4월 17일 ~ 2021년 5월 13일 | 문재인 정부 |
22대 | 노형욱 | 2021년 5월 14일 ~ 2022년 5월 13일 | 문재인 정부 |
23대 | 원희룡 | 2022년 5월 13일 ~ 2023년 12월 25일 | 윤석열 정부 |
24대 | 박상우 | 2023년 12월 26일 ~ (현직) | 윤석열 정부 |
6. 정원
총계 | 1,036명 | |
---|---|---|
정무직 계 | 3명 | |
장관 | 1명 | |
차관 | 2명 | |
별정직 계 | 8명 | |
고위공무원단 | 1명 | |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 | 2명 | |
6급 상당 이하 | 5명 | |
일반직 계 | 1,024명 | |
고위공무원단 | 27명 | |
3급 이하 5급 이상 | 522명[25] | |
6급 이하 | 473명[26] | |
전문경력관 | 2명 | |
특정직 계 | 1명 | |
경정 이하 | 1명[27] |
7. 재정
총수입·총지출 기준 2023년 대한민국 국토교통부의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3][4]
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일반회계 | 1751억원 | +9.27% |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 5193.21억원 | +2.08% |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 7.67억원 | - |
혁신도시건설특별회계 | 7400만원 | +10.45% |
교통시설특별회계 | 3705.67억원 | +4.47% |
주택도시기금 | 21.94417조원 | +9.47% |
자동차사고 피해지원기금 | 555.9000000000001억원 | +2.92% |
합계 | 23.065589조원 | +9.19% |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일반회계 | 6.782629조원 | +0.18% | ||
colspan=2 | 기초생활보장 | 2.572266조원 | +17.89% | ||
colspan=2 | 주택 | 1441.8600000000001억원 | -21.79% | ||
colspan=2 | 철도 | 2.326876조원 | +1.25% | ||
colspan=2 | 항공·공항 | 258.18억원 | +3.49% | ||
colspan=2 | 물류등기타 | 1.173817조원 | -5.45% | ||
colspan=2 | 수자원 | 0원 | -100% | ||
colspan=2 | 지역및도시 | 5381.5599999999995억원 | -25.49% | ||
colspan=2 | 산업단지 | 5억원 | -99.57% | ||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 2.224547조원 | -34.75% | ||
colspan=2 | 주택 | 76.75억원 | 순증 | ||
colspan=2 | 도로 | 5287.55억원 | +9.22% | ||
colspan=2 | 철도 | 815.65억원 | -89.42% | ||
colspan=2 | 물류등기타 | 1353.58억원 | -65.5% | ||
colspan=2 | 지역및도시 | 1.135608조원 | -19.32% | ||
colspan=2 | 산업단지 | 3355.86억원 | -5.19% | ||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 | 171.0105억원 | -9.5% | ||
colspan=2 | 물류등기타 | 80.21000000000001억원 | +2.18% | ||
colspan=2 | 지역및도시 | 90.84억원 | -17.79% | ||
혁신도시건설특별회계 | 지역및도시 | 160.9억원 | -33.06% | |
교통시설특별회계 | 13.361919조원 | -5.54% | ||
colspan=2 | 도로 | 7.312052조원 | -6.83% | ||
colspan=2 | 철도 | 5.181154조원 | -5.78% | ||
colspan=2 | 항공·공항 | 3176.9억원 | -20.32% | ||
colspan=2 | 물류등기타 | 5510.2300000000005억원 | +37.94% | ||
주택도시기금 | 주택 | 33.289487조원 | -6.6% | |
자동차사고 피해지원기금 | 물류등기타 | 606.45억원 | +1.52% | |
합계 | 55.751412조원 | -7.19% |
참조
[1]
법률
정부조직법 제42조
[2]
법령
국토교통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2·별표 5·별표 6
[3]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1-01
[4]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1-01
[5]
법률
[6]
법률
[7]
법령
[8]
법령
[9]
법률
[10]
법률
[11]
법률
[12]
법률
[13]
법률
[14]
법률
[15]
법률
[16]
법률
[17]
기타
[18]
기타
[19]
기타
[20]
기타
[21]
기타
[22]
기타
[23]
기타
[24]
기타
[25]
기타
[26]
기타
[27]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기후위기 속 취약 주택 거주자 보호해야”…인권위, 제도 개선 권고
추석연휴 3218만명 이동…귀성길 5일, 귀경길 6일 가장 혼잡
‘이문동 지반침하’ 동대문구 “이재민에 임대주택 무상지원”[서울25]
[단독]무자격으로 운전대 잡은 버스·택시·화물차 운전자 최소 2764명
최고가로 집 산 뒤 해제…5년간 11만건, 신고가 띄우기?
[D리포트] '울릉공항 수요' 49%나 하락?…감사원 "안전성도 문제 있어"
"집값 왜 오르나?"...10명이 4천채, 6639억에 사들였다
이재명 정부, 공공임대 주택 예산 대폭 늘려
“공공분양 줄고 공공임대 늘어”...예산으로 보는 李정부 주택정책
"죽지 않고 일할 수 있도록"…건설 산재 유가족들, 눈물의 외침
8000만원 이상 ‘연두 번호판’ 자동차, 부산에 압도적으로 많은 이유는?
외국인 ‘바이어’ 입국심사 빨라진다···인천공항 별도 입국심사대 마련
아파트도 6년 단기임대 건설 허용되나
Korea to curb speculation in Seoul metro area by requiring foreigners to live in purchased property
“살지도 않으면서 집값 올리네” 외국인 ‘부동산 쇼핑’ 제동 걸리나 [Q&A]
줄지어 선로 걷다 참변…피할 공간도 없었다
줄지어 선로 걷다가…곡선 구간 피할 공간 없었다
김윤덕 국토장관 “부동산 공급대책 이르면 8월안, 늦어도 9월초 발표”
이 대통령, 권오을·최휘영·김정관·김윤덕 장관에 임명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