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 국토교통부는 국토종합계획 수립 및 조정, 국토의 보전·이용·개발, 도시·도로 및 주택 건설, 육운·철도 및 항공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1948년 교통부로 시작하여 건설부, 건설교통부를 거쳐 201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장관, 2명의 차관, 다양한 실·국, 소속기관, 위원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3년 기준 총 1,036명의 공무원이 근무한다. 2023년 국토교통부의 재정 규모는 총 23조 655억 8900만 원의 세입 예산과 55조 7514억 1200만 원의 세출 예산으로 편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한민국 정치와 정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
    대한민국의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국토교통부의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국명대한민국
정식 명칭40px 국토교통부
공용어 명칭국토교통부
로마자 표기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약칭국토부, MOLIT
위치세종특별자치시 도움6로 11 정부세종청사 6동
설치일2013년 3월 23일
전신국토해양부
모토살기 좋은 국토, 편리한 교통
웹사이트국토교통부
직원1,036명
정원1005명
조직
상급 기관국무총리
산하 기관#조직
재정
연간 예산 (세입)23조 655억 8900만 원
연간 예산 (세출)55조 7514억 1200만 원
연간 예산 (세입)17조7707억5700만 원
연간 예산 (세출)43조2191억900만 원
주요 직책
장관박상우
제1차관이원재
제2차관어명소

2. 소관 사무

국토종합계획의 수립 및 조정, 국토의 보전·이용·개발, 도시·도로 및 주택의 건설, 해안 및 간척, 육운·철도 및 항공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1]

3. 연혁

3. 1. 역대 로고

4. 조직

대한민국 국토교통부의 조직은 장관, 제1차관, 제2차관 아래 여러 실, 국, 정책관, 담당관실, 과 등으로 구성된다.

실·국정책관·심의관실담당관실·과
장관 산하 하부조직
대변인실홍보담당관실ㆍ뉴미디어홍보팀[17]
감사관실감사담당관실
장관정책보좌관실[18]
제1차관 산하 하부조직
기획조정실기획담당관실ㆍ혁신행정담당관실ㆍ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ㆍ청년정책담당관실ㆍ정책기획관실ㆍ비상안전기획관실
정책기획관실재정담당관실ㆍ미래전략담당관실ㆍ국제협력통상담당관실ㆍ정보화통계담당관실ㆍ정보보호담당관실ㆍ국토교통과학기술정책팀[17]
비상안전기획관실
운영지원과
국토도시실국토정책관실국토정책과ㆍ수도권정책과ㆍ지역정책과ㆍ산업입지정책과ㆍ성장거점정책과
도시정책관실도시정책과ㆍ도시경제과ㆍ도시활력지원과ㆍ녹색도시과ㆍ스마트도시팀[19]
건축정책관실건축정책과ㆍ녹색건축과ㆍ건축문화경관과ㆍ건축안전과
국토정보정책관실국토정보정책과ㆍ공간정보제도과ㆍ공간정보진흥과ㆍ국가공간정보센터
주택토지실주택정책관실주택정책과ㆍ주택기금과ㆍ주택건설공급과ㆍ주택정비과
주거복지정책관실주거복지정책과ㆍ주거복지지원과ㆍ공공주택정책과ㆍ민간임대정책과
토지정책관실토지정책과ㆍ부동산투자제도과ㆍ부동산평가과ㆍ부동산개발산업과ㆍ부동산소비자보호기획단[20]
건설정책국건설정책과ㆍ건설산업과ㆍ해외건설정책과ㆍ해외건설지원과ㆍ공정건설지원팀[21]ㆍ기술안전정책관실
기술안전정책관실기술정책과ㆍ기술혁신과ㆍ건설안전과ㆍ시설안전과
제2차관 산하 하부조직
교통물류실종합교통정책관실교통정책총괄과ㆍ교통안전정책과ㆍ교통서비스정책과ㆍ생활교통복지과
물류정책관실물류정책과ㆍ첨단물류과ㆍ물류산업과ㆍ생활물류정책팀[22]
항공정책실항공정책관실항공정책과ㆍ첨단항공과ㆍ국제항공과ㆍ항공산업과ㆍ국제민간항공기구전략기획팀[21]
항공안전정책관실항공안전정책과ㆍ항공운항과ㆍ항공기술과ㆍ항공교통과ㆍ항행위성정책과
공항정책관실공항정책과ㆍ공항운영과ㆍ항공보안정책과ㆍ공항건설팀[23]
모빌리티자동차국모빌리티총괄과ㆍ자동차정책과ㆍ자율주행정책과ㆍ도심항공교통정책과ㆍ자동차운영보험과
도로국도로정책과ㆍ도로건설과ㆍ도로투자지원과ㆍ도로관리과ㆍ도로시설안전과ㆍ디지털도로팀[21]
철도국철도정책과ㆍ철도운영과ㆍ철도건설과ㆍ철도투자개발과ㆍ수도권광역급행철도과ㆍ철도안전정책관실
철도안전정책관실철도안전정책과ㆍ철도운행안전과ㆍ철도시설안전과


4. 1. 소속기관

5. 역대 장관

이름재임 기간비고
건설교통부 장관
초대오명1994년 12월 24일 ~ 1995년 12월 21일김영삼 정부
2대추경석1995년 12월 21일 ~ 1997년 3월 5일김영삼 정부
3대이환균1997년 3월 6일 ~ 1998년 3월 3일김영삼 정부
4대이정무1998년 3월 3일 ~ 1999년 5월 24일김대중 정부
5대이건춘1999년 5월 24일 ~ 2000년 1월 14일김대중 정부
6대김윤기2000년 1월 14일 ~ 2001년 3월 26일김대중 정부
7대오장섭2001년 3월 26일 ~ 2001년 8월 22일김대중 정부
8대김용채2001년 8월 22일 ~ 2001년 9월 7일김대중 정부
9대안정남2001년 9월 7일 ~ 2001년 9월 29일김대중 정부
10대임인택2001년 9월 29일 ~ 2003년 2월 26일김대중 정부
11대최종찬2003년 2월 27일 ~ 2003년 12월 28일노무현 정부
12대강동석2003년 12월 29일 ~ 2005년 3월 29일노무현 정부
13대추병직2005년 4월 6일 ~ 2006년 11월 15일노무현 정부
14대이용섭2006년 12월 11일 ~ 2008년 2월 29일노무현 정부
국토해양부 장관
15대정종환2008년 2월 29일 ~ 2011년 6월 1일이명박 정부
16대권도엽2011년 6월 2일 ~ 2013년 3월 11일이명박 정부
17대서승환2013년 3월 11일 ~ 2013년 3월 23일박근혜 정부
국토교통부 장관
(17대)서승환2013년 3월 23일 ~ 2015년 3월 15일박근혜 정부
18대유일호2015년 3월 16일 ~ 2015년 11월 11일박근혜 정부
19대강호인2015년 11월 11일 ~ 2017년 6월 20일박근혜 정부
20대김현미2017년 6월 21일 ~ 2020년 12월 28일문재인 정부
21대변창흠2020년 12월 29일 ~ 2021년 4월 16일문재인 정부
직무대행윤성원2021년 4월 17일 ~ 2021년 5월 13일문재인 정부
22대노형욱2021년 5월 14일 ~ 2022년 5월 13일문재인 정부
23대원희룡2022년 5월 13일 ~ 2023년 12월 25일윤석열 정부
24대박상우2023년 12월 26일 ~ (현직)윤석열 정부


6. 정원

국토교통부에 두는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

총계1,036명
정무직 계3명
장관1명
차관2명
별정직 계8명
고위공무원단1명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2명
6급 상당 이하5명
일반직 계1,024명
고위공무원단27명
3급 이하 5급 이상522명[25]
6급 이하473명[26]
전문경력관2명
특정직 계1명
경정 이하1명[27]


7. 재정

총수입·총지출 기준 2023년 대한민국 국토교통부의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3][4]

구분세입예산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1751억+9.27%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5193.21억+2.08%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7.67억-
혁신도시건설특별회계7400만+10.45%
교통시설특별회계3705.67억+4.47%
주택도시기금21.94417조+9.47%
자동차사고 피해지원기금555.9000000000001억+2.92%
합계23.065589조+9.19%



구분세출예산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6.782629조+0.18%
colspan=2 | 기초생활보장2.572266조+17.89%
colspan=2 | 주택1441.8600000000001억-21.79%
colspan=2 | 철도2.326876조+1.25%
colspan=2 | 항공·공항258.18억+3.49%
colspan=2 | 물류등기타1.173817조-5.45%
colspan=2 | 수자원0원-100%
colspan=2 | 지역및도시5381.5599999999995억-25.49%
colspan=2 | 산업단지5억-99.57%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2.224547조-34.75%
colspan=2 | 주택76.75억순증
colspan=2 | 도로5287.55억+9.22%
colspan=2 | 철도815.65억-89.42%
colspan=2 | 물류등기타1353.58억-65.5%
colspan=2 | 지역및도시1.135608조-19.32%
colspan=2 | 산업단지3355.86억-5.19%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171.0105억-9.5%
colspan=2 | 물류등기타80.21000000000001억+2.18%
colspan=2 | 지역및도시90.84억-17.79%
혁신도시건설특별회계지역및도시160.9억-33.06%
교통시설특별회계13.361919조-5.54%
colspan=2 | 도로7.312052조-6.83%
colspan=2 | 철도5.181154조-5.78%
colspan=2 | 항공·공항3176.9억-20.32%
colspan=2 | 물류등기타5510.2300000000005억+37.94%
주택도시기금주택33.289487조-6.6%
자동차사고 피해지원기금물류등기타606.45억+1.52%
합계55.751412조-7.19%


참조

[1] 법률 정부조직법 제42조
[2] 법령 국토교통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2·별표 5·별표 6
[3]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1-01
[4]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1-01
[5] 법률
[6] 법률
[7] 법령
[8] 법령
[9] 법률
[10] 법률
[11] 법률
[12] 법률
[13] 법률
[14] 법률
[15] 법률
[16] 법률
[17] 기타
[18] 기타
[19] 기타
[20] 기타
[21] 기타
[22] 기타
[23] 기타
[24] 기타
[25] 기타
[26] 기타
[27]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